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목발로 계단 오르내리는 방법
    목발로 계단 오르내리는 방법

     

    다리 골절, 인대 손상, 무릎 수술 후에는 일상 이동이 큰 도전으로 다가옵니다. 이때 꼭 필요한 도구가 바로 ‘목발’입니다. 하지만 목발은 단순한 보조 기구가 아닌, 정확한 사용법이 뒷받침되어야 안전한 회복이 가능합니다.

     

    특히 계단을 오르내릴 때는 잘못된 사용법으로 인해 낙상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목발 길이 조절방법, 안전한 계단 보행법, 사고 예방 수칙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1. 목발, 이렇게 조정해야 안전하다

     

    목발 사용의 기본은 내 몸에 맞게 길이를 조정하는 것입니다.

    겨드랑이와 목발 패드 사이에는 3~5cm 여유 공간(손가락 세마디 정도)이 있어야 하며, 손잡이는 손목 높이에 맞춰야 합니다.

    목발로 계단 오르내리는 방법
    3~5cm 여유 공간(손가락 세마디 정도)

     

    손목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손잡이 위치를 조절하고, 항상 팔의 힘으로 체중을 분산시켜야 합니다.

    목발로 계단 오르내리는 방법
    손목 모양

     

    또한 손잡이를 잡을 때는 팔꿈치의 각도가 145도에서 160도 정도가 되도록 구부려 주는 것이 좋습니다.

    목발로 계단 오르내리는 방법
    팔꿈치의 각도가 145도에서 160도 정도

     

    절대 겨드랑이로 몸을 지탱하지 마세요. 겨드랑이 통증, 신경 압박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계단 오르기 – 순서가 생명입니다

     

    계단을 오르고 내리는 경우 순서가 가장 중요합니다. 

    아래 글과 사진을 보면서 이해한 후 따라하시고 그래도 순서가 헷갈리는 경우는 "하늘 천국, 땅 지옥"으로 암기하시면 좋습니다.

     

    즉, 하늘은 위쪽방향으로 올라가는 것을 의미하고 하늘은 천국(건강한 다리부터 올라간다)이라고 암기하시면 됩니다.

    반대로 땅은 내려가는 아래쪽 방향을 의미하고 이때는 지옥(아픈 다리부터 내려간다)이라고 암기하시면 절대 헷갈리거나 어렵지 않게 순서를 기억할 수 있습니다.

     

    계단에서의 목발 사용은 사고와 직결됩니다. 반드시 아래 순서를 지켜야 합니다.

     

    계단 오를 때 : 건강한 다리 → 목발 → 다친 다리

     

    먼저 계단을 오르기 전에 두 목발을 같이 한쪽 방향으로 모아서 잡습니다. 그리고 반대손으로 난간을 잡고 바로 섭니다.

    목발로 계단 오르내리는 방법
    두 목발을 같이 한쪽 방향으로 모아서 잡습니다.

     

    건강한 쪽 다리를 먼저 올리고 이때 목발을 꽉 잡고 체중을 지탱해 줍니다.

    목발로 계단 오르내리는 방법
    건강한 쪽 다리를 먼저 올리고 이때 목발을 꽉 잡고 체중을 지탱

     

    그 다음 목발을 위쪽 건강한 발쪽까지 올립니다. 이때 아픈 발을 자연스럽게 올려줍니다.

    목발로 계단 오르내리는 방법
    목발을 위쪽 건강한 발쪽까지 올립니다.

     

     

    3. 계단 내려가기 – 순서가 생명입니다

     

    계단 내릴 때 : 목발 → 다친 다리 → 건강한 다리

     

    난간이 있다면 한 손은 난간, 한 손은 목발을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반드시 한 계단씩 천천히 이동하세요.

     

    먼저 한손으로는 난간을 잡고 목발을 한칸 내려서 위치시킵니다.

    목발로 계단 오르내리는 방법
    한손으로는 난간을 잡고 목발을 한칸 내려서 위치시킵니다.

     

    그 다음 다친 다리와 건강한 다리를 동시에 목발이 놓여 있는 곳까지 내려옵니다.

    목발로 계단 오르내리는 방법
    다친 다리와 건강한 다리를 목발이 놓여 있는 곳까지 내려옵니다.

     

    4. 낙상 예방을 위한 실전 팁

     

    1. 계단 상태 확인 : 미끄럼, 이물질 여부 점검

    2. 조명 확보 : 야간에는 플래시, 손전등 활용

    3. 천천히 이동 : 급한 이동은 금물

    4. 의류와 신발 점검 : 끈이 풀린 신발, 긴 옷은 위험

    5. 도움 요청 : 동반자나 보호자와 함께 이동

     

    특히 겨울철 외부 계단은 매우 미끄러울 수 있으므로 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론 – 회복의 시작은 ‘정확한 사용’에서

     

    목발 사용은 단순히 짚고 걷는 것을 넘어, 신체 균형, 환경 인지, 최신 기술 활용까지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인 과정입니다. 특히 계단에서는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낙상 방지와 회복 속도 향상을 위해서는 습관화된 올바른 사용법과 장비 점검이 핵심입니다.

    지금 이 글을 통해 배운 내용들을 하나씩 실천해 보세요.
    정확한 사용법은 회복을 앞당기고, 사고를 예방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2025.05.30 - [분류 전체보기] - 퇴행성 관절염 환자를 위한 하지재활운동(+부모님께 꼭 알려주세요!!!)

     

    퇴행성 관절염 환자를 위한 하지재활운동(+부모님께 꼭 알려주세요!!!)

    다음에서 설명드리는 운동들은 하지 근력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증가시켜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줄 수 있도록 혼자서도 할 수 있는 자가재활운동법입니다. 이러한 운동을 통해서 무릎에

    alexpapa75.com

     

    2025.06.03 - [분류 전체보기] - 무릎연골주사 시술,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무릎연골주사 시술,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무릎연골주사는 퇴행성 관절염, 무릎 통증 완화에 효과적인 비수술 치료입니다. 관절 연골을 보호하고, 윤활을 돕는 주사로, 연골이 손상되거나 약해진 환자들에게 주로 사용됩니다. 무릎이 자

    alexpapa75.com

     

    2025.06.03 - [분류 전체보기] - 퇴행성관절염 무릎통증, 어떤 무릎관절 주사를 맞아야 할까?

     

    퇴행성관절염 무릎통증, 어떤 무릎관절 주사를 맞아야 할까?

    나이가 들면서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퇴행성관절염은 중장년층에게 매우 흔한 질환으로, 통증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관절질환입

    alexpapa75.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