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7월은 사업자들에게 중요한 시기입니다.
바로 2025년 제1기 부가가치세 신고·납부 기간이기 때문인데요.
국세청은 경기침체와 매출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법인사업자를 위해 납부기한 연장과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국세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토대로 부가가치세 신고 대상, 납부기한, 자동 연장 정책, 유용한 팁까지 모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7월 부가가치세 신고, 누가 언제까지 해야 할까?
국세청에 따르면, 2025년 7월 부가가치세 신고 대상자는 총 679만 명입니다.
지난해보다 8만 명이 늘었고,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 개인 일반과세자 : 546만 명
- 법인사업자 : 133만 개
- 간이과세자(세금계산서 발급 ): 28만 명
- 간이과세자(세금계산서 미발급 ): 예정부과세액 납부(약 7만 명)
신고 및 납부 기한은 7월 25일(금)까지입니다.
간이과세자 중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지 않은 경우, 지난해 납부세액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예정 부과세액을 7월 말까지 납부하면 됩니다.
홈택스로 간편하게 신고하고, 실수도 줄이자
국세청은 납세자 편의를 위해 신고 시스템을 크게 개선했습니다.
이제는 홈택스(PC)뿐만 아니라 모바일 홈택스, ARS(1544-9944)로도 간편하게 신고가 가능합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전자세금계산서와 발급내역이 자동으로 채워지고 부동산 임대차 계약도 자동반영된다는 점입니다.
미리채움 서비스 덕분에 실수를 줄이고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경기침체로 힘든 소상공인, 기한 연장 가능!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부분이 바로 이겁니다.
“매출이 줄어서 세금을 기한까지 못 낼 것 같은데, 연장되나요?”
다행히 국세청은 올해도 경기침체와 매출감소를 겪는 사업자들을 위해 직권으로 2개월(9월 25일까지) 납부기한을 연장합니다.
별도의 신청 없이 적용되며, 대상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 전년 대비 매출이 크게 감소한 건설·제조·음식·숙박·소매업자 : 약 40만 명
- 수출기업 중 매출이 감소한 세정지원 대상자 : 약 1만 8천 명
- 간이과세자 및 예정부과대상자 중 음식·숙박·소매업 등 영위자 : 약 14만 5천 명
이외에도 직접 사유를 제출해 신청하면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추가 연장도 가능합니다.
성실신고 도우미 자료도 활용하세요
국세청은 납세자 실수를 예방하고 세금을 성실하게 낼 수 있도록 성실신고 도우미 자료를 제공합니다.
특히 재활용폐자원 업종, 수출물류 운송업, 판매장 운영 업종, 코인거래업자 등은 매출을 누락하기 쉽기 때문에 국세청이 추가 자료까지 안내합니다.
이 자료를 참고하면 과도한 세액공제 신청 등 실수를 막을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부가가치세 환급 일정도 체크
혹시 환급을 받을 분이라면 일정도 중요합니다.
부가가치세 환급금은 8월 14일까지 지급되며, 수출·중소기업이 조기 환급을 신청하면 8월 4일까지 앞당겨 지급됩니다.
결론 : 늦게 내도 걱정 말고, 국세청의 지원을 활용하세요
부가가치세 신고는 모든 사업자에게 중요한 의무입니다.
하지만 올해도 국세청은 경기침체로 힘든 사업자들을 위해 납부기한 연장, 유예, 성실신고 도우미 등 다양한 정책을 준비했습니다.
홈택스를 활용해 쉽게 신고하고, 연장 대상에 해당된다면 부담 없이 유예 혜택도 누려보세요.
세금 정보를 꼼꼼히 챙기고, 국세청의 자료를 잘 활용해 성실하게 신고하셔서 사업에 더 집중할 수 있길 바랍니다!
2025.07.02 - [분류 전체보기] - 2025 정기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 지급일 8월 지급 예정!!!
2025 정기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 지급일 8월 지급 예정!!!
근로 및 자녀 장려금은 저소득 근로자와 자녀를 부양하는 가구를 위한 정부의 대표적인 소득 지원 제도입니다.가구의 소득, 재산, 자녀 유무, 가구 형태(단독, 홑벌이, 맞벌이)에 따라 지급액이
alexpapa75.com
2025.07.01 - [분류 전체보기] - 2025 청년도약계좌 7월 신청기간 및 정부기여금 완전 정리 ✅
2025 청년도약계좌 7월 신청기간 및 정부기여금 완전 정리 ✅
청년 자산 형성을 위한 대표 금융 정책인 청년도약계좌. 2025년 7월부터 신청이 시작되며, 매달 최대 7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지원금을 더해주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7월
alexpapa75.com